top of page

하나의 강
여섯개의 나라

물의 중요성과 메콩강 유역국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메콩강 분쟁이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KakaoTalk_20191113_232939092.png

파울루, 멜버른, 자카르타, 런던, 베이징, 이스탄불, 방갈로드, 바르셀로나, 멕시코시티같은 도시들은 향후 몇 십 년 후,

물 없는 데이 제로(Day Zero)를 맞게 될 것이다. 사람들은 물은 풍족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고 믿지만 2040년 이후에는 대부분의 국가는 물이 부족해 연간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세계는 지금 ‘물 위기’에 직면해있다.

그러나 물은 대체품이 없다. 사람은 물이 없다면, 며칠 안에 죽게 될 수도 있다.

물이 중요한 이유다. 물은 인간 생명의 필수조건이다.

ddd.jpg

SALT WATER

FROZEN

FRESHWATER

LIQUID

FRESHWATER

97%

2%

1%

중국의 무리한 댐건설?

KakaoTalk_20191113_232939092.png

1.물은

중요할까

  상파울루, 멜버른, 자카르타, 런던, 베이징, 이스탄불, 방갈로드, 바르셀로나, 멕시코시티같은 도시들은 향후 몇 십 년 후, 물 없는 데이 제로(Day Zero)를 맞게 될 것이다.

  사람들은 물은 풍족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고 믿지만 2040년 이후에는 대부분의 국가는 물이 부족해 연간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세계는 지금 ‘물 위기’에 직면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은 대체품이 없다. 물이 없다면, 사람은 죽는다.

인간 사용할 수 있는 물, 1%
ddd.jpg

SALT

WATER

FROZEN

FRESHWATER

LIQUID

FRESHWATER

97%

2%

1%

2. 성장하는 
​메콩강 유역국
Mekong river

​지난 2019년 11월 27일 부산에서 한-메콩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한강의 기적이 메콩강의 기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며 상생을 위한  '평화와 번영 공동체' 구축 노력도 다짐했다.

 

그러나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미국 일본 등도 메콩 5개국의 잠재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메콩강 유역국에 관심을 갖는 국가들 

중국

​미국

일본

2015년 

​란창-메콩강 협력회의(LMC)를 개최하여 원조를 약속

2018년 협력 25주년을 맞아 융합하고 번영하는 메콩강 지역을 위한

협력방향을 모색

오바마 시기

메콩강하류유역계획(LMI) 추진​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은행은

2017년 메콩삼각주

기후변화 문제 대처를 위해 10억 달러

프로젝트 추진

2015년  7월 도쿄에서

메콩 5개국 정상에게

7500억엔 규모의

원조를 ​​약속

메콩 5개국은

​왜 주목받나

중국과 인도, 아시아를 잇는 지리적 요충지
경제성장률이 아세안 국가 중에서 굉장히 높은 국가
 →특히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은 연 6%넘는 지속적인 고속 경제 성장 모습
수자원 관리와 인프라 건설 등 초국경적 개발 수요가 높은 지역
수력발전, 목재, 광물자원 등 풍부한 개발 잠재력 보유

CONFLICT

중국의

​무리한 댐건설?

​중국은 전통적으로 수자원 관리를 중시해왔다.
물을 잘 관리하는 것이 국가의 역량을 기르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중국이 란창강에 댐건설을 확대하면서​ '물을 무기화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KakaoTalk_20190910_080026079_edited_edit
ㅇㅇ.jpg
메콩강의 하류에 있는 메콩 5개국은 중국의 의도와 상관 없이 건설된 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물이 인간의 기본 생명 유지의 필수라는 점에서 중국의 댐건설은 메콩 5개국에게 위협으로 다가오게 된다.
2016년 베트남에서는 10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맞았는데 이로인해 180만 명이 식수를 공급받지 못하고 쌀 수확량이 줄어들기도 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중국정부에 상류댐을 개방해달라는 항의를 하기도 했다.
해?
도?
    중국 정부가 단지 메콩 5개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댐건설을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앞에서 언급한 베트남의 가뭄을 중국의 댐 건설에 따른 결과로 보기는 힘들다.
    실제 란창강은 전체 지류의 약 44%를 차지하지만 연평균 지표물량은 메콩강 전체 지표물량의 13.5%에 불과하다. 나머지 86.5%는 메콩 5개국이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란창강 계단식 발전소는 하류 메콩강의 수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지만, 영향범위는 주로 라오스이기 때문에 베트남의 가뭄과는 무관하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미중 패권 경쟁의 새 지역
    처음에는 메콩강 하류지역과 중국의 '수자원갈등'으로 시작했으나, 중국의 댐건설에 따른 자연스러운 영향력 확대가 미국의 견제를 야기했다. 실제 중국은 남중국해 주도권을 잡고 아시아 지역에 공고한 세력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메콩강이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기 때문에 미국의 관심이 이곳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미국과 일본이 메콩강 지역에 대규모 지원을 하는 것도 이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다. 메콩 5개국 중에서도 남중국해와 맞닿아있는 베트남이 중국에 대한 우려가 깊은데,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치루기 있기 따라서 베트남은 미일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균형잡으려고 한다.

   특히 2012년 4월 "일본-메콩강 정상회의"에서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미일이 개입할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바있다. 따라서 메콩강을 둘러싼 나라들 간의 동상이몽으로 인해 메콩강 문제는 더욱 국제화되며 복잡해질 전망이다.
bottom of page